기호 2번 윤성우

class="text-center"

인사말

윤성우교수를 소개합니다.

사랑하고 존경하는 외대 구성원 여러분께

저는 지난 21년 동안 외대와 함께 성장하며, 변함없는 마음으로 우리 공동체를 염려하고 봉사해 왔습니다. 비록 저의 직책과 역할은 달라졌으나, 우리 대학을 향한 책임감과 헌신의 자세만큼은 한결같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외대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구성원 모두가 각자의 자리에서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투명한 소통 구조와 혁신적인 제도적 기반이 반드시 갖추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확신은 학생처장으로서 학생들의 목소리를 경청하며, 양 캠퍼스를 총괄하는 교무처장으로서 각 캠퍼스의 현실을 면밀히 살피며, 그리고 총장직선제를 위한 논의 과정에서 교직원 여러분을 직접 만나며 얻게 된 것입니다. 우리 외대 공동체는 교수, 학생, 직원, 그리고 재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어느 한 구성원만큼 중요한가 덜 중요하지 않으며, 모두가 대학의 주체로서 존중받아야 합니다. 저는 총장의 가장 중요한 책무가, 모든 구성원이 주체적으로 외대를 자부심과 보람을 느끼며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러한 공동체를 실현하고자 하는 간절한 소망으로, 총장이라는 막중한 자리에 출마하였습니다.

10대 핵심공약

윤성우 교수의 10대 핵심 공약을 소개합니다.

하나의 외대, 세 캠퍼스가 움직이는 힘!

  • 서울: 차 없는 그린캠퍼스·혁신성장빌딩·신기숙사 추진
  • 글로벌: 신도서관·중앙광장·공대/자연대 1층 플레이그라운드 추진
  • 송도: 약학대학 및 바이오 클러스터, 국제협력국가전략연수원 추진

학생 취업률 대도약

  • 학생의 성장으로 더 나은 사회진출 체계 마련, 70% 취업률 달성
  • 공공인재 양성 및 확대 지원
  • 전공·이중전공 필수과목 수강 환경 개선
  • 2026년, 138명 추가 인턴십 기회 확보·인턴십 2배 확대 (산학 트랙 연계·학점 인정)

외국어(특수어) 교육 3트랙 추진 및 국가전략언어 HUFS 3.0 고도화

  • 외국어 의사소통/지역학 고도화/언어전문 고도화 3트랙, 해외현장 학기 강화, 수요자 맞춤형 마이크로디그리 그리고 과정 확대
  • >
  • 국가전략 언어대학 고도화를 위한 학과당 전임 충원, 통합 발전 로드맵 추진
  • >

학생 참여형 연구 지원 확대

  • 이공계 HUFS STEM Excellence Awards
  • 발전협력팀 외부 장학금의 대학원 연계 추진
  • 융합 Seed Fund 및 Research Fellowship 지원 사업
  • 이공계 대학원생 외국어 능력 향상 프로그램 지원
  • 연구조교, 대형 강의 교육 조교 지원

연구 역량 중심 인센티브·연구자 생애주기별 지원

  • >5년 주기 연구년, High Impact Grant 및 Research Fellowship 강화
  • 신임교원 연구집중학기 운영(Project based 시수 조정, 7.5시간→5시간) 도입
  • 명예특임교수 선발 및 지원 강화
  • 간접비 최소 30% 연구실·인건비·장비비 자동 환류
  • 연구년 Plus 과제 선·후금 지원으로 안정적 연구환경 확보
  • HUFS 홈페이지에 ‘연구’ 항목 신설

창업 생태계 구축

  • 창업 융합전공 신설, 창업전담 정년트랙교수 임용, 학생 및 교원 창업 로드맵 추진
  • 창업동아리, 창업 학기, 창업 장학금 신설
  • 창업-보육-시드펀드 연동(프로젝트 기반)
  • 송도(IFEZ,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산학 R&D 허브 구축

재정 포트폴리오 다각화 (기금·민자·에너지 수익)

  • 외국인전용단과대 신설(연 500명, 4년 총 2,000명 규모)
  • 발전기금 4대 우선펀드·명명권 패키지 매칭
  • 미주·몽골 HUFS 해외법인 및 캠퍼스 추진
  • ESCO·태양광 등 에너지 절감형 수익 사업 도입
  • 교육·연구시설 민자사업(BTO) 추진

AI 한국어·디지털 학습 생태계 구축

  • HUFS-한국어 화상 강의 플랫폼 구축
  • 다국어 AI 교육 플랫폼 구축
  • 실시간/VOD, AI 튜터·자동 평가·LMS·글로벌 결제 완전 연동

구성원 복지·행정 디지털 전환

  •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연봉 인상(임기 내 8%)
  • 직원 처장/부처장 공모제 도입 및 행정 업무 고도화
  • 디지털 행정 고도화

국제화·브랜딩 강화

  • 해외 동문·고용주 평판 캠페인 상시화, ‘HUFS Harmony’: 학생 생애 주기형 네트워크 구축
  • 전략적 글로벌 MOU 확대(교환·듀얼 디그리·글로벌 인턴십 등)
  • 외국인 유학생 진로·취업·창업 지원 서비스 구축(글로벌 HUFS-care 센터)


캠퍼스

서울-글로벌-송도를 잇는 핵심 전략!

서울캠퍼스 지도

서울캠퍼스
Green & Innovation 그린캠퍼스를 약속합니다!

01 차 없는 그린 캠퍼스

  • 지상 주차장 단계적 녹지화
  • 보행축 중심 동선 재설계
  • 노상 주차 감축 및 지하 주차 유도
  • 동대문구청과 업무협력 및 지원 약속

02 혁신성장빌딩 건설 (12층 규모)

  • 신경영관 건립(대형강의실, MBA강의실, 트레이딩 룸, 스터디 룸, 연구실 등)
  • 프로그램 구성: 평생교육·문화복합/스타트업 스튜디오/어린이 외국어 교육
  • AI융합대학 및 융합 전공 학부(LT, LD, 연계전공) 실험실습실 및 면학 공간 배정
  • 운동장 지하화 설계 연계 및 지역 커뮤니티 클래스(주민·동문) 운영
  • 동대문구 진로·취업·창업지원 센터 수용 및 운영,
    서울시 및 지자체 사업을 통해 수익 환류 구조 마련

03 생활 SOC·혁신성장 시설 확충

  • 학생 생활편의(보건·상담·경력) 원스톱 센터
  • 실험·스터디오형 학습공간(방음·전력·네트워크) 단계별 확충
  • 24시간 스터디룸(야간 안전·출입 통제 연계) 시범 운영 후 확대

04 교내 제2기숙사 신축 (250명 수용, 7층 규모)

  • 연구집중형 동 분리(AI융합대학 야간 실험 대응)
  • 입학 성적 기반 우선 입실 기회 제공
  • 공용 주방·프로토타입 룸(창업공간) 배치
  • 공공인재개발원 면학공간 조성 추진

05 통번역대학원/연수평가원 승강기 설치


06식당 문제해결(석식 재운영)

  • 메뉴 개선, ID 기반 식권 발행 등 운영방식 개선
이필형 동대문구청장과 협의 사진
이필형 동대문구청장과 그린캠퍼스 협의
글로벌캠퍼스 지도

글로벌캠퍼스
Research & Startup Hub

01글로벌 신도서관 건설 & 학습 공간 재배치

  • 신 도서관 신축: 24시간 스터디 룸·창업 공간 설치
  • 현 도서관 전환: 제2 강의동(공학관)으로 공대·자연대 대형 강의실·실험실 확충
  • 세향관 리모델링: 연구실·공동실험실·창업보육(Pre-Seed)·세미나 룸으로
    연구·교육·창업 삼각축 완성

02 글로벌 센트럴 파크 조성

  • 야외강연·축제·마켓·졸업식·동문 행사 등 기능
  • 주변 1층을 개방형 라운지·전시·카페로 전환, 가로 동선 재편
  • 학술·생활·지역 교류 활동을 연결하는 핵심 거점으로 운영

03 스포츠·문화 혁신·웰니스 지구 조성

  • 스포츠·힐링센터·웰니스 커뮤니티 등 바이오·웰니스 허브 단계적 구축
  • 태교의 숲 연계 공공·문화공원 조성, 지역 연계 활성화 및 임대·운영 수익으로 재정 선순환 구축
  • 메디람한방병원과 MOU 체결, 분당 차병원 그룹과 협력 추진

04 자연대·공대 로비 플레이그라운드화 및 주차 환경 개선

  • 폐쇄형 로비에서 전시·소모임 등이 가능한 오픈랩센터
  • 학과·동아리·산학·프로젝트의 상시 시연·교류가 이루어지는 실험적 학습공간 운영
  • 머무르고 싶은 캠퍼스 환경 조성을 통한 인적 네트워크 증진
  • 교직원 전용 주차장 관리 강화 및 주차 공간 확보
  • 05AI 기업 데이터센터 유치 재추진


    06식당 문제 해결(석식 확대)

    • 석식 이용 50명 → 100명 확대
    • 시간대별 메뉴 슬라이드 및 예약·픽업 도입
    • 이공계생을 위한 야간 무인 스낵바 운영
자연대 로비 조감도
자연대 로비 조감도

공과대학 로비 조감도
공과대학 로비 조감도
송도캠퍼스 지도

송도캠퍼스
Bio & Global (바이오 융합 캠퍼스를 열겠습니다!)

01약학대학 신설 추진

  • 메디람한방병원, ㈜리메드와 MOU 체결, 포천 차의과학대학 및 차병원 그룹과 협력 추진
  • 다국어·지역학 기반 바이오 산업특화인력 양성 목표
  • K-바이오 클러스터·한국유나이티드제약·한독제약과 R&D 공동연구 등 협력 추진

02 IFEZ·연수구와 정책 패키지

  • 연수구 국회의원 및 지자체와 업무협력 및 지원 약속
  • KFEZ(대한민국 경제자유구역) 제도 활용
    (실습·창업 공간·기숙사·현금성 인센티브·임대료 감면 등)
  • 인천지역 약대 정원 수요 부상
    (청라지구 대형병원 진출 확정, 전국 약학대학 정원 규모상 인천 하위 3번째, 현재 60명)

03 기숙사 겸 국제협력·국가전략연수원(총 1,000실)

  • 총 1,000실 규모로 기숙·연수 겸용 체계 마련
  • 학생 사용분 400실 확보 및 외부 임대분 600실(교류·연수·단기 체류 용도) 운영
  • 산학·국제프로그램 시즌 수요에 맞춰 가변 배정 실시

04 국제 협력-국가전략대학원 신설

  • 국제협력 ODA + 국가전략대학원 신설
  • 총장 직속 국제개발협력원 설립을 통해 체계적인 ODA 사업 설계·수주·관리 체계 구축
정일영 국회의원과 약학대학 신설 협의 사진
정일영 국회의원(인천 연수구 을)과 약학대학 신설 협의


교육

다국어·전공·데이터를 잇는 HUFS형 학습혁신

교육혁신 대표 이미지
01

학습 혁신 프레임

  • 언어로 연결하고, 데이터로 확장하는 실전 역량을 모든 학습자에게 제공
  • 4축: <기초> 수학·데이터·글쓰기·디지털 리터러시 →
    <교양> → <전공> 심화·융합 → <현장> 캡스톤·인턴·PBL

02

서울·글로벌·송도 아키텍처

  • 서울: AI 및 ICT 교육 강화 / 다국어 데이터 허브 구축 / 인문사회계열 학부-대학원 학점 인정 및 연계 프로그램 추진
  • 글로벌: 이공계 기반 시설 지원(공용 실험 계측 장비 단계적 구축, 개방형 실험 실습 공간 추가 마련, 학생회 공간 등)
  • /산학연계 창업 캠퍼스 / 글로벌거버넌스리더학부 신설 / 수요기반 외국어교육 역량강화(MD 1,2,3 단계적 확장)
  • 송도: 약학대학 및 바이오 클러스터 추진 / 국제협력형 ODA 및 국가전략대학원 신설
  • 세 캠퍼스 신설학부 정착 TF 구성: 입학에서 4학년 편제 완성까지의 로드맵(교원, 학생, 공간, 내부인프라 등) 구축·점검·이행 확인
03

외국어교육 특성화 및 융합·맞춤형 마이크로디그리 체계 고도화

    외국어교육 3트랙 특성화

  • [트랙 1]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트랙: 외국어 의사소통 역량 강화
    <전공>(공통 트랙, 심화 트랙 기초)
  • [트랙 2] 지역학 융합 트랙: 외국어 기반 지역학 융합 역량 심화
    트랙 1 + 지역학 융합 MD(전공 심화형)
  • [트랙 3] 언어처리 및 통번역 트랙: AI 기반 다국어 처리 및 통번역 전문 역량 개발
    트랙 1 + 언어처리/통번역 MD(전공 심화형)
  • 학생 맞춤형 마이크로디그리 및 모듈식 교육 체계 내실화

  • 지역별(경제/경영/통상 등)·이공계(기후/환경/AI/데이터 등): 국제협력 및 국제기구 관련 MD 확대
  • 인문·사회·자연 분야 융합·학문 횡단적 클래식 리딩 MD로 다학제 학습 지원
  • 이중전공 및 (학습자설계)융합전공 지원를 위한 외국어 MD 확대
04

특수어·다문화 역량 강화

    HUFS 특수어 3.0 선도

  • 국가 지정 25개 특수어 표준 교과·평가·인증 컨소시엄 주도
  • 45개 다국어에서 53개 이상 다국어 교육 프로그램 마련
  • 학과당 신임 교원 충원, 학문 후속 세대, 폐강 기준 완화 지원 사업(해외 박사과정 지원)
  • 국가전략형 글로벌 지역전문가 양성 사업화(지역 경영·지역 경제 MD 강화, K-move, KOTRA 연계)
  • 국가전략 패러다임 하에 국제개발협력전문가 양성 사업(외교부, 수출입은행, KDS, KOICA 등)
  • 국가전략언어대학 고도화(3단계 로드맵): 1단계('26'-27) 기반 조성 / 2단계('28'-29) 통합 기반 마련 / 3단계('29~) 통합 완성

05

기초·교양·전공·현장 실용적 교육 추진

  • 전공·이중 전공 필수 과목 좌석 보장 : 수요 기반 증원·분반·온라인 하이브리드
  • 기초 교양 공통 과목 강화: 수학·통계·데이터·글쓰기 등 신설 및 수준별 튜터링
  • 전공 설계 가이드 라인 확립: “기초-교양-전공심화/융합-현장” 4축 구조 표준화
06

대상별 맞춤형 교육

  • 자유전공학부: 학제 설계 트랙 + 전공 매칭 코칭 + 학기 말 포트폴리오 심사
  • 유학생: 글로벌 HUFS-care 센터(유학생 전 주기 지원-비자·거주·학업·언어·취업)
  • 대학원: 연구 방법·데이터 분석+산학 연구 조교/프로젝트 기반 학점제
07

글로벌 공공인재 양성 시스템

  • 공공인재 영역 특화 추진: 자유전공 연계트랙 도입 + 글로벌거버넌스리더학부 추진(지역전략 국제개발협력)
  • 공공인재개발원 지원 확대
  • 공공인재개발원 학생수 증원 및 전용 학습 공간 구축
  • 졸업생 및 휴학생 시설 이용 완화
08

창업 생태계 구축

  • 학생: 창업 융합전공 신설, VC/AC 등 투자 연계 프로그램, 벤처 창업 대학원 신설, 창업장학금, Global Talent Lab(창업지원센터) 설치
  • 교원: 창업 전담 정년트랙 교원 임용, 창업 친화적 교원 제도 및 행정 시스템 마련(창업 A~Z까지)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청년·외국인 창업 인큐베이팅 및 ESG·지역상생·사회공헌을 아우르는 지역·세계 상생형 창업 허브 구축
09

글로벌 HUFS-care 센터 구축

  • 93개 해외 대학·기관과의 글로벌 네트워크 활용
  • 총장 직속 외국인 유학생 총괄 부서 신설(유학생 삶의 질 관리, 유학생 수용 학과(중간점)학부, 행정 및 재정적 지원책 마련 등)
  • 외국인 유학생 원스톱 관리(유학생 전 주기 지원-비자·거주·학업·언어·취업)
10

대학 이미지·경쟁력 대외홍보 강화

  • 학교 링크드인 계정 운영 및 활성화
  • 홍보 강화 : SNS·유튜브·팟캐스트 기반으로 연구·취업·동문 스토리 제작
  • 브랜드 전담 조직 신설(마스코트·응원가·굿즈·상징물 등)
  • 온라인,오프라인 플랫폼을 통한 다양한 굿즈를 홍보 및 판매
11

외국인 유학생·동문 및 취업 지원

  • 외국인 동문회 운영·관리 기반 지역별 온라인 플랫폼 고도화
  • 동문 홈커밍데이 정례화 및 대학원 발전 기금 캠페인 활성화
  • 외대 한 가족 홈스테이(외국인 유학생이 외국어 가능한 동문 가정 홈스테이)


연구

보상·자원·인프라를 한 축으로 묶는 HUFS 연구 대전환

01

성과 보상·인센티브

  • 5년주기 연구년, High Impact Grant·Research Fellowship:상위 5% 저널(A&HCI)·FH50·UT Dallas 게재
  • Research Fellowship: 교수&대학(원)생 공동연구에 성과 기반, 각 최대 2,000만 원 지원
  • Research Sabbatical Plus: 융복합 Seed Fund 연구년 특별지원금 1,000만 원 제공
  • 신임교원 환경 지원 및 개선(정착금, 공간)
  • 연구집중학기 제도 추진(Project based 시수 조정, 7.5시간 → 5시간)
  • 명예특임교수 제도 개선 및 지원 강화,명예교수 예우 개선(강의료, 건강검진)
  • 정교수에서 정년까지의 지속 가능한 연구력 및 성과 기반, 선발 및 처우 개선
  • 융합 연구 Seed Fund 및 업적 평가 가중치
  •    - AI·통번역·문학·언어과학·신경과학 등 융합 연구에 1,000만 원 시드 지원
       - 융합적 성격 연구 성과에 대한 업적 평가 가중치
02

인프라·플랫폼

  • 융합 연구 지원 체계 구축
  • 종합정보시스템 내에서 교내 연구자 연구 주제 DB 시스템 구축
  • 양 캠퍼스 융합대학 융합 연구 플랫폼화 추진 및 융합 연구 친화적인 교원 평가, 학사 제도 마련
  • 공공통번역원 설립 추진
  • 외대 학술원 설립
  •    - 시대 환경 변화에 따른 외대 고유 학문 아젠다 발굴 및 방향 제시
       - 총장과 집행부의 프레임을 넘어선 학교 전체의 미래와 발전 방향 토론 및 제안
       - 연구, 산학, 관학 협력 비전 및 체계 구축 제시
  • 국제지역연구센터 '세계전략연구' 독립 법인화 및 지역 연구 아젠다 조율: 박사급 연구원 증원, 지역별 현지조사 펀드·정책데이터 센터 구축, 오픈 액세스 출판 지원
  • 신 정부의 소버린AI정책 방향에 조응하는 AI 교육 프로그램 및 HUFS 지역학 sLLM 구축
    (업스테이지와 AI·데이터 부문 MOU 체결)
03

연구 재원 순환•안정화

  • Matching Grant(외부과제 매칭: 외부과제 수주 시 간접비 최소 30%를 연구실 구축·조교 인건비·데이터/소프트웨어 라이센스에 의무 환류)
  • 외부 연구 과제 수주 시 간접비의 단계적 필수 연구점수화
  • 용역 과제 선·후금 지원: 인건비 안정화를 위해 후불 10~20% 단계별 선지급
    (연구조교 급여·필수 시약·장비 유지보수에 우선 배정)
04

인력·조직

  • Global Graduate Fellowship :계열별 상위 10% 교수에게 연구팀 중심으로 연구 조교 신설·배정·운영
  • 신임교원 마중물
  • 연구조교 배정/정착금 확대 및 초기 연구실 구축 패키지 제공
  • Project-based 초빙교수: 과제형 초빙교수에 전용 연구실 및 실험 공간 제공


재정

3,650억 재정 혁신! 학생에게는 희망을, 대학에는 비상을!

  • 2029년 외대 75년 역사 이래 최초로 운영 수입 3,200억 원 시대 달성
  • 총 예산 3,650억 원, 운영 수입 3,200억 원 달성

  • - 안정적 재정 운영 체계 구축으로 교육·연구·복지의 선순환 구조 실현
  • - 등록금 의존도 완화와 함께 지속 가능한 재정 자립 구조 확립

  • 등록금 의존도 61% → 56%
  • - 등록금 의존도는 줄이고 대학 재정은 더 튼튼하게
  • - 등록금 인상 목적·집행 내역·성과 평가 공개

  • 수입 다각화를 통한 신규 매출 300억 원, 순이익 80억 원 달성
  • - 외국인 전용 단과대학 신설, 국제교류 프로그램 확대, 해외캠퍼스 설립
  • - 전공 연계형 학교 기업 설립 및 한국어 문화 교육원 등 교육 부대 사업 고도화
  • - 안정적 수익 포트폴리오 확대

재정 다각화의 축

2026~2029 수입 다각화 시나리오 그래프

외국인전용단과대학 신설 및 파운데이션 프로그램 운영

  • - 신규 등록금 수입 80억 원, 송도 Pre-HUFS 및 국내외 파운데이션 연계

해외캠퍼스 신설 (미주·몽골 HUFS 캠퍼스)

  • - 미주 (외국어 AI 특화) 및 몽골 (글로벌 MBA) 캠퍼스 설립
  • • 2026년 매출 5억 원 → 2029년 매출 80억 원
  • • 2026년 매출 6억 원 → 2029년 매출 32억 원

한국어문화교육원 매출 100억 원 달성

  • - 총매출 103억 원, 까셋삿대·랑싯대·HIFP 등 해외대학과의 패키지 프로그램 확대

전공 연계형 학교기업 활성화

  • - 어린이 외국어 교육센터: 매출 15억 원
  • - 세계 문화 유산 답사 프로그램: 매출 47억 원

발전기금 600억 원 유치

  • - 4대 우선 펀드 조성(장학·AI 연구·캠퍼스 혁신·송도 특화)
  • - 명명권·엔도우먼트·기업 ESG 기부 연계 → 연 120억 원, 5년 동안 600억 원 달성
  • - 글로벌 동문 재단·지역 파트너 네트워크 기반 'HUFS 챌린지 캠페인' 추진
  • - 총장 직속 재정확충위원회(외부전문가 포함)

태양광 발전으로 그린 캠퍼스 실현

  • - 2027년부터 연 최소 2.1억 원 규모 수익 창출
  • - AI 융합연구 서버 전력 수요 자체 충당

국제협력국가전략연수원(송도) 설립 및 산학협력 경쟁력 강화

  • - 송도캠퍼스 내 산학협력 기반 연수원 신설(BTO 방식)
  • - 기숙사·연수원 결합형 교육·생활 인프라 구축
  • - 지속가능한 재정 건전성 방향: 산학협력단 강화

총장 직속 재정확충 TF 신설

신정부 협력 사업 적극 추진

  • - 지역학 DB 구축 사업 컨소시엄 구성
  • - 대륙별 ODA 허브 대학 추진


교수복지

연구는 깊게, 행정은 가볍게 — 공정한 보상으로 완성하는 교수 복지

HUFS 벤처2.0 추진

  • - 학교 기업·기술지주회사 설립 지원센터 구축 및 회계·IR 특화 원스톱 지원
  • - 교수 창업·기술이전·산학 성과의 인사·성과급 반영 체계 마련
  • - 창업동아리 시드 지원·멘토링 제공 및 KAIST 모델 기반 창업 학기제 운영

HK 3.0 시대

  • - 동등 역할·동등 의무·동등 대우 원칙
  • - 겸직/겸무 사전 승인 및 이중 소속 배정을 통해 교육 및 연구 시너지를 촉진
  • - 연구 프로젝트·강의·학생 멘토링 지속 참여 보장
  • - HK 연구소 대표 강좌 개설 지원
  • - HK 연구 과제 종료시 연구년 우선 고려

학과장 행정 업무 간소화·고도화

  • - 2027년 예산 15억 원 반영 및 데이터 기반 행정 일원화
  • - 행정 서류·영수증 자동 처리로 증빙 간소화 및 결재 시간 단축
  • - 수업/단과대/학적 등, 30개 업무 자동화 분류
  • - 단과대 차원에서 행정 업무 지원 및 조율을 담당하는 박사급 연구원 추진

교수 연구력 지원 체계 강화

  • - 학과 중심과 모듈 중심 병행 지원으로 융복합 및 공동 연구 촉진
  • - 재임용·교원 업적에 교육 성과 적극 반영 및 PBL·지역 연계 과목 가산점 부여
  • - 전임교원 책임시수를 15학점에서 14학점으로 조정 추진
  • - 전공 자율 선택제(유형 1, 2) 확대에 따른 교원 충원

이중 보직수당 체계 구축

  • - 두 번째 보직에 50% 수당 지급
  • - 수당 책정에 업무량·책임 반영 원칙 적
  • - 보직 순환·인수 인계 표준화로 조직 피로도 완화

중대형강의 담당교원 인센티브 강화

  • - 중대형 강의에 조교 배정 확대 (80명 초과당 1명씩)
  • - 인센티브 수당 강화 (규모·난이도 연동)/li>
  • - 강의 만족·학습 성과 지표와 인센티브 연동
  • - 정규 과정 유학생 수용 데이터 기반 교원 충원과 학과 지원금 증액 추진 신설

전공자율 선택제 (유형1,2) 확대에 따른 교원충원

  • - 전공 선택 데이터·패턴 기반에 맞춘 기초·핵심 교과 교원 충원
  • - 마이크로디그리·융합전공·연계 전공 운영에 필요한 전담 겸임·초빙 교원 구성 최적화


직원복지

현장이 리드하는 디지털 행정
공정 보상과 유연근무로 완성

행정업무의 고도화·전문화에 따른 직원 처장/부처장 임명

  • - 직원 처장 공모제 도입(자격·평정·성과 기준 명시)
  • - 처장단 직무 연수 신설

직원 충원 단계적 로드맵

  • - 2026년-2029년 연간 5명씩 증원 예정(학사·전산직 등 부서 우선 근무)
  • - 송도캠퍼스 개교 준비
  • - 대외 평가를 위한 미래혁신처 및 외국인 유학생 전담 부서 신설
  • - 동료 평가 반영 비율 확대 및 역량 심사 제도(직무 전문성·외국어 능력 등) 도입
  • 팀장 보직 수당 신설

    • - 팀장 역할(성과 관리·인사·예산·리스크 관리) 추가 부담을 보상
    • - 팀 규모·업무 난이도 연동 차등 수당 지급
    • - 성과 목표 달성 시 성과 가산점 적용

    직원의 자기 역량 개발 기회 확대

    • - 6년 근속 직원에게 1개월 연수 월 부여 (근무 평정·성과 기준 충족 시)
    • - 직무 교육·자격증·외부 연수 교육비 매칭 지원
    • - 직무 순환형 러닝 패스 운영

    2010년 이후 입사자 호봉 정상화

    • - 동일 가치 노동 보상 형평성을 회복
    • - 재직 기간, 직무 등급, 성과를 고려한 단계적 보정 로드맵 마련
    • - 재정 영향 최소화를 전제로 설계

    유연/단축근무 부서별 탄력 조정

    • - 시차 출퇴근(반반차)·주 4.5/주 4일제(파일럿 형태)·집중 근무제 운영
    • - 부서 업무 특성과 민원 피크 데이터 기반으로 근무 형태를 배치
    • - 학사·행정 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무중단 서비스를 보장

    육아휴직 수당 공무원 수준 상향

    • - 출산·양육기 소득 공백을 완화하고 경력 단절을 방지
    • - 법정 수준을 상회·동등한 수준으로 단계적 상향
    • - 복직 후 탄력 근무에 대한 우선권을 부여

    퇴직 예정자 연수 기간 단계적 확대 (2개월 → 6개월)

    • - 퇴직 전 경력 전환·재취업·창업 준비를 실질 지원
    • - 재무·노무·창업·디지털 스킬 집중 과정을 제공
    • - 산학 네트워크 매칭을 통해 후속 기회를 연계
    • - 교직원(퇴직 교직원 포함) 경조사 공지 네트워크(홈페이지 활용)

    행정업무 간소화/고도화

    • - 전자 결재·증빙 자동화와 표준 양식·메타데이터로 재작업을 제거
    • - 처리 기간을 단축하고 반복 업무를 감축
    • - 핵심 업무·기획 중심으로 조직 역량을 전환


    학생복지

    AI 맞춤학습과 권리보장
    배움·이동·장학을 꼼꼼하게

    (통합)인재개발처 신설: 진로 취업, 현장 실습, 공공 인재 업무 전문화 및 일원화
    HUFS Career Path(가칭) AI 맞춤형 학생 지원 시스템 구축

    • - 학업·진로 개인화 로드맵 자동 추천
    • - 전담 코디네이터 중심의 학업 설계·지원 코디 팀 상시 운영
    • - AI 진단·상담 도구 연계 운영

    01

    글로벌 인턴십 기회 확대 인재양성 프로그램
    추진 (연간 138명 추가 인턴십 기회 확보)

    • - 미국/호주: 잡코리아, MBC 아메리카, 현대 로템, 위드 온 나인, Omnis Solutions 등 10개 해외 기업과 MOU 체결
    • - 한국: 토스 인사이트, 유라 스틱, 리퍼드, 메디 람 한방병원 등 3개 국내 기업과 MOU 체결
    02

    HUFS STEM Excellence Awards

    • - 업 스테이지와 AI 교육 사업 프로그램 협력 추진 확정
    • - 교내·교외 학생 경진 대회 출전비·재료비를 지원
    • - 멘토링·공간을 일괄 지원
    • - 수상·우수작 팀에 장학·창업 연계 및 논문·전시·IP 출원 지원
    03

    공공인재개발원 확대

    • - 예산 및 정원 확대
    • - 학술·세미나 리빙랩을 갖춘 전용 학습공간 구축
    • - 정책실습 및 시청/대비 박람회 중앙정부·지자체·국제기관 인사 초빙 지원
    • - 전문자격과정 확대 지원
    04

    학생 신문고 도입 (청원제)

    • - 300명 이상 청원 시 처장이 답변, 1,000명 이상 청원 시 총장이 답변
    • - 기한을 명시해 답변하고, 공개 게시판에 접수·검토·조치 단계를 표시
    • - 총장 인스타그램 공개 계정 및 DM을 통해 학생들과 상시 소통 채널 마련
    05

    이공계 대학원생 기숙사 공간 확보

    • - 단계적으로 전용 침실/원룸형을 확보
    • - 연구실 근접 동선을 우선 배치
    • - 연구 과제 참여자·야간 실험 전공·저소득층·외국인 순 가점제를 적용
    06

    수업의 질 개선

    • - 예비 수강신청으로 정원 수요 파악 → 중·감설 설치 결정, 장바구니로 시간표 충돌·제약 사전 검증
    • - 수강 신청 시 서버 분산 운영, 과열 과목(30% 추첨, 70% 선착순)
    • - 계절학기 비대면 강좌 비율 단계적 확대(20% 이내,유고 결석 수업권 보장)
    • - 학점 지우기 도입, 성적 평가 제도 개선
    • · 전공/기초 필수 제외한 학과 재량에 따라 탄력적 운영
    • · C+ 이하에서 최대 6학점, 과목당 1회 신청 가능
    07

    캠퍼스 간 셔틀버스 개선

    • - 서울↔글로벌 직행을 시범 운행하고 등·하교 피크에 집중 배치
    • - 학생 수요 조사와 주요 수업 블록(1·3·5·7교시 등)을 정시에 연결
    • - 혼잡도 관리·실시간 도착 정보 제공·장애 학생 접근 표준을 적용
    08

    장학금 신설 및 지원 확대

    • - 창업, 국제교류, 경진대회, 학생자치기구 등
    • - 외부 장학금의 대학원생 지원 확대
    • - 디지털 뱃지 장학금 신설
    09

    각종 교내 위원회 참여

    • - 교내 위원회에 학생 참여 제고 (신설,장학,교과,학교-학생협의회 등)


    대학원

    세계 속의 연구 허브, HUFS 대학원

    01

    Global 인재 양성 종합 발전 계획

    • - HUFSans 장학금 4학기 지급 및 인원 확대, 동일 계열 진학 조건 완화
    • - 학부 8학기 대상 학부-대학원 공동 인증 과목 개설
    • - 현재 4.5% 수준인 학부생의 대학원 진학률 10% 단계적 추진
    • - 연구 조교 제도 신설을 통한 공동 연구 지원 및 성과 선순환, 수업 및 교육 행정 조교 선발
    • - 공동 지도, 통합 세미나, 학부 연구생 제도를 체계적으로 운영
    • - 실적 및 프로젝트 기반, 국제지역대학원, 교육대학원 등 연구소 신설 지원
    02

    법학전문대학원 도약 토대 마련 및 인프라 현대화

    • - 랭킹 5위 도약 및 5주기 평가 대비 중장기 신임 교원 수급 계획
    • - 기본 6법 외, 외대 고유성 반영한 분야 교수진 다양화
      (국제지역법, 국제통상법 등)
    • - 저명 법조인(대법관, 헌법재판관, 법률 각 전문 분야 유명 변호사 등)의 석좌교수, 초빙교수, 겸임교수 적극 지원
    • - 교육 및 시설 인프라 현대화
    • - 법학전문대학원 연간 특강 프로그램 지원
    • - 법학전문대학원 발전기금 추진 체계적 지원
    • - 동문 네트워크 구축 지원
    03

    특수대학원 전략적 운영 (온오프, 학위·비학위 하이브리드 방식)

    • - 산림생태자원 매니지먼트 전공
      (산림조합중앙회 연계, 협력 추진 중)
    • - 정책 지원관 및 정책 보좌관
    • - K-컬처 전공
    • - 통합 웰니스치유 전공
    04

    통번역대학원

    • - 공공 서비스 통번역(Public Service Translation & Interpreting) 전담 기관
    • - 가칭 '공공통번역원' 설립 추진, 정부 산하 기관에 흩어져 있는 통번역 업무 통합 및 관리
    • - 신정부 AI 생태계 정책 연동, 통번역대학원의 교육 노하우 접목
    • - 공공통번역 통합 인증 과정 개설
      (법정, 난민, 의료, 이주민 등 분야별로 특성화된 인증, 평가,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추진
    • - 듀얼디그리(3년) 개설 (통번역 석사 2년 + 1년 과정 ICT, 지역학, 외교 통상, MBA, 국방·안보·방산 등 도메인 지식 분야 MOA) 추진
    • - 통번역대학원 개설 8개 언어 외의 국내 수요가 높은 특수어, 통번역 장·단기 프로그램 개발
      (이태리어, 인도어, 포르투갈어, 베트남어, 태국어, 마인어, 우즈벡어 등)
    05

    HUFS 해외(몽골) 캠퍼스 설립 추진

    • - 몽골 대기업 OUG(Oyunu Undra Group)와 파트너십 통해 몽골 현지인 위한 '글로벌 MBA 프로그램' 실행 및 대학원 학생 유치
    • - 몽골 내 필요 학과 개설 통해 HUFS의 몽골 캠퍼스 건립
    • - 몽골 최고 대기업 GENCO Group과 파트너십 통해 몽골 내 최초의 초·중등 국제학교 설립
    06

    HUFS 글로벌 교육법인(미주) 설립 추진

    • - 캘리포니아에 별도 법인 설립하여 글로벌 전자상거래·무역·K-뷰티 수출 실무 등 자격증·마이크로디그리 과정 운영
    • - 화장품·식품 기업 대상 미국 수출 지원 비즈니스 트립 및 B2B 위탁·공공기관 협력 교육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 수- 수익은 발전기금·장학금으로 환원해 HUFS 재정 자립도 강화 및 글로벌 브랜드 가치 제고
    07

    '찾아가는 도심 대학원' (종로/판교/마곡/수서 교육 허브)

    • - 도심 직장인 등을 대상으로 교육 제공
    • - 실무 중심 석·박사 및 비학위 트랙 운영
    • - 경영학 전문 박사(DBA)/AI 융합 MBA/경제·사회 분야 수요 반영
      최고위 과정 개설(노무 등) 과정 기획·운영
    • - 겸임교수 및 초빙교수 활용과 HUFS 교수진 순환 파견을 병행하며 야간/주말 수업 운영
    08

    HUFS Global Graduate Program
    (해외 대학원 연계)

    • - K-콘텐츠 실무 모듈(푸드·문화·비즈니스)과 통번역 등 외대 특화 융합 교육을 제공
    • - 프랜차이즈/공동 학위(Dual/Joint Degree)를 설계
    • - 해외 파트너 캠퍼스에서 모듈 운영
    • - 몽골 캠퍼스 글로벌 MBA 프로그램
    🏫

    몽골 캠퍼스

    현지 대기업 협력, 글로벌 MBA·국제학교 설립으로 학부~대학원 수직 확장

    🌎

    미주 교육법인

    전자상거래·무역·K-뷰티 중심 글로벌 실무교육, 수익은 장학금으로 환원

    🏙️

    도시형 대학원

    종로·판교·수서·미국 등 도시형 허브에서 실무 중심 최고과정 운영

    🤝

    Global Program

    한류·문화·경영 중심 복수학위 과정, 해외 캠퍼스 교류 및 글로벌 MBA 연계


    AI캠퍼스

    인문·지역학 X 기술 융합의 AI-네이티브 캠퍼스로 전환

    AI 캠퍼스 개요

    01
    정부 예산 확보
    • - 외대 다국어(네이버 학습 사전, AI허브 데이터, 외국어 교재 데이터 등), HK 및 지역학 데이터를 국가 과제화 추진
    • - 소버린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컨소시엄 2차 참여 추진(2026년까지 총 10조 예산 규모)
    • - 국가대표 AI Top5 업스테이지 등과 협업·MOU 체결·공동 연구·매칭 펀딩 유치
    • - AI 융합인재·AI 중심대학 사업 등 정부 지원사업 선정 추진
    02

    수익모델 구축

    • - 외대 고유의 다국어 데이터·지역학 도메인 지식으로 언어 특화 파인튜닝 sLLM 개발·상용화
    • - 연구자·학생 참여형 구축 프로세스로 수익모델 창출
    • - HUFS-AX(AI로의 전환) AI사업 핵심 재원으로 삼아, 등록금 의존율을 최소화하고 미래 지향적'기본 소득'형 재정 구조로 전환
    • - 업스테이지와 협력해 AI 행정·학습 혁신 및 다국어·지역학 (S)LLM 공동 개발 추진
    03

    Everyday-AI

    • - 캠퍼스 공동 활용 LLM 서비스 제공
    • - 인문·지역학×AI 아이디어 팩토리 운영(바이브 코딩 기반 1인 1앱 개발 지원)
    • - 학생 생활·교육 평가와 연동된 AI 플랫폼 활성화
    • - (주)캐릿티브와 협력
    04

    전공×AI 융합 플랫폼 지원

    • - 데이터 통합(벡터 DB) 및 온라인 창구 일원화 포털 구축
    • - 단계별 데이터 센터 구축 및 전력 수급
    • - 융합 연구 친화적 교원평가 제도 마련(가중치 부여 등)
    • - 학부×대학원 공동연구 연계 지원


    입학

    "하나의 외대, 모두가 연결되는 미래"

    입학 전략 요약 그래픽(이미지 교체)
    01

    HUFS-IAM
    (HUFS-Innovative Admission Model):
    글로벌 수준의 혁신적 입학 모델 도입

    • - “하나의 대학”으로 캠퍼스 구분을 폐지하고, 전공 융합 중심의 통합 입시 체계 구축
    • - 전공융합(AI·데이터·다국어) 중심의 통합 미래형 입시 체계 설계
    • - AI 기반 개인맞춤형 학습지원(e-Advisor)으로 학습 유지율 향상 및 중도탈락 방지
    02

    HUFS Harmony:
    생애주기형 네트워크 구축

    • - 입학부터 사회 진출까지 함께 성장하는 HUFS형 공동체 실현
    • - 신입생·재학생·졸업생·동문을 하나로 연결하는 지속 가능한 네트워크
    • - 온보딩 강화, 교내외 네트워킹 프로그램 확대를 통한 브랜드 가치 제고
    03

    입시 경쟁력 강화 전략

    • - 글로벌거버넌스리더학부 신설
      (국제 공공 혁신·글로벌 정책 등)
    • • 공공·행정 분야 진출을 목표로 하는 우수 학생 유치
    • • 기숙사 우선 입실, 전용 면학실, AI·빅데이터 학습 환경, 국제기구 협력, 산학연계 인턴십 제공

    • 송도캠퍼스 약학대학 신설 추진
    • • 우수 학생 유치 및 송도캠퍼스 경쟁력 강화
    • • HUFS-BMI(HUFS Bio-Medical Institute) 설립으로 연구 중심 체계 구축
    • • BME와 교육 기반 생명공학·화학·공학과 연계한 바이오 융합 인재 양성

    • HUFS, K-컬처의 글로벌 허브로 도약
    • • AI융합대학·디지털콘텐츠학부·한국학과·투어리즘&웰니스학부 협력
    • • 다국어 빅데이터·AI 플랫폼을 통한 K-콘텐츠 확산 및 한국학 글로벌화 추진
    04

    함께 만드는 입시 혁신 거버넌스

    • - 학생·교직원·지역사회가 함께 참여하는 입시 정책 협력 시스템 구축
    • - 'Idea Jam' 공모전 등으로 정책 아이디어 발굴 및 평가 과정 투명성 제고


    캠퍼스별 산학협력단 맞춤 운영

    산학협력단 구조(이미지 교체)
    01

    캠퍼스별 산하협력단 맞춤 운영

    • - 캠퍼스 맞춤 자율 운영 : 서울(인문·사회·국제), 글로벌(공학·자연·인문), 송도(바이오·국제협력/비즈니스) 중심 특성화
    • - 지역-산업 클러스터 연계 강화 : 지자체·산단·연구기관과 상시 공동과제,공동장비,인력교류 체계화
    • - 성과 중심 거버넌스 : 캠퍼스별 KPI 정례 공개(과제 수주·간접비·특허·창업·취업 연계) 및 인센티브 연동
    02

    산단 전임금을 연구비 재투자로 단계적 전환

      • - 양 캠퍼스 집단 과제시범 사업
      • • 박사급 전담 2인 배치(서울/글로벌 각 1인)로 정부 과제 발굴-신청-수주 원스톱 지원
      • • 집단과제(특수 목적 사업 등) 소규모 시범사업 연간 1~2건 운영, 학과·연구소·지역기관 연계 확산

      • - 최신 연구 장비/소프트웨어 지원 및 시설 안전 관리 강화
      • • 국가 연구시설장비 사용료 지원
      • • 자료 해석을 위한 전문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확보
      • • 실험실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시설 안전 강화

      • - RISE 사업 성공 수행(~2030년 2월까지)
      • • 총 21억 규모 사업비의 효율적 집행
      • • 연구비 최적 배분·전담 인력 확충
      • • 2030년 이후 지속 가능한 ‘지산학 협력’ 체계 확립과 중장기 발전 기반 구축

      • - 송도캠퍼스 산학협력단 출범 준비
      • • 송도 전담 산학협력단 조직 구축과 재정 기여도 제고